모안정(모르면 안되는 정보 모음)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신청기간, 가입조건, 금리 총 정리 (최종 확정 정보) 본문

Information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신청기간, 가입조건, 금리 총 정리 (최종 확정 정보)

ManyDa. 2023. 6. 14. 23:28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어떻게 하는지, 금리는 어떻게 되는지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란?
  2. 청년도약계좌 혜택
  3.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신청 자격)
  4.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1. 청년도약계좌란?

 


 연간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인 만 19세~34세의 청년이면 가입 가능한 적금형 계좌입니다.
총 5년 만기 상품이며 월 납입금은 매월 70만 원 한도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
월 최대 납입료인 70만 원을 5년간 납부하는 경우 약 5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정부 기여금 + 은행 예치 이자 + 비과세 혜택입니다.
정부 기여금은 개인 소득별로 차등 지급되며, 은행 예치 이자는 개인 소득과 은행 우대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월 납입 금액은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며, 납입을 하지 않더라도 계좌는 유지가 됩니다.
 

* 정부 기여금 지급 구조

 아래 그림에서 보실 수 있듯이 개인 소득 기준으로 기여금 지급 한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본인 소득이 2,400만 원 이하면 매달 40만 원 이상 납입하면 매달 최대 정부 기여금인 2.4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은행 예치 이자 혜택

 아래 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이 총 11개의 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실 수 있으며 은행별 총금리는 6%로 동일합니다. (3년간 고정금리, 이후 변동 금리)
소득 우대금리는 연간 총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분만 해당이 됩니다.
은행 별 우대금리는 은행에서 제안하는 조건을 충족시키시면 됩니다.
하나카드를 예로 들면 하나카드는 신용카드 개설 후 월 10만 원 x 36회 차 (총 360만 원) 사용을 하시면 충족됩니다.

은행기본 금리소득 우대 금리은행 별 우대 금리총 금리
농협,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국민4.5%0.5%1.0%6.0%
DBG대구, BNK부산, BNK경남4.0%0.5%1.5%6.0%
광주, 전북은행3.8%0.5%1.7%6.0%

 

* 5,000만원이 만들어지는 구조

 총 소득 2,400만 원 이하인 분 기준으로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납입 원금 : 월 납입금 70만 원 - 5년 만기 시 4,200만 원
정부 지원금 : 월 2.4만 원 - 5년 만기 시 144만 원
은행 예치 이자 : 6% 복리 계산 시 세전 708만 원 (세후 600만 원)
총 4,200 + 144 + 600 = 4,944만 원입니다.

 

3.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신청 자격)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소득요건과 가구 소득 요건을 만족하는 청년(만 19~34세)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 기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합니다. (2년 군대를 다녀온 남성의 경우 만 36세까지)
 
개인 소득 요건은 직전 연도(2022년 1월 ~ 12월)의 총소득이 7,000만 원 이하인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소득이 6,000만 원 ~ 7,500만 원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정부 기여금은 받으실 수 없으며, 납입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만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구 소득 요건은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합이 중위 소득의 180% 이하를 충족하여야 합니다.
아래는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중위 소득입니다. 참고하시면 됩니다.

 

4.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총 11개의 은행에서 개설할 수 있으며, 모바일 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개설이 가능합니다.
개설 가능 은행, 신청 가능 일정, 계좌 개설 일정은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청년 도약계좌 개설 가능 은행

  1. 농협은행
  2. 신한은행
  3. 우리은행
  4. 하나은행
  5. IBK기업은행
  6. KB국민은행
  7. 부산은행
  8. 광주은행
  9. 전북은행
  10. 경남은행
  11. 대구은행

* 신청 가능 일정

  • 6월 15일 ~ 6월 23일 : 출생 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로 신청 가능
  • 6월 22일, 23일 : 출생 연도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
  • 7월 이후 : 매월 2주간 가입 신청기간을 별도로 운영 (아래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https://www.kinfa.or.kr/index.jsp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 계좌 개설 일정

  • 청년도약계좌 신청 이후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조건을 검토 후 조건이 모두 충족된다면 은행에서 계좌 개설 가능 여부를 안내 예정입니다.
  • 가입 조건이 충족된 경우 7월 10일 ~ 7월 21일 중에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신청은 여러 은행에서 가능하나, 개설은 1인 1 계좌만 가능합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금융위원회 공식 블로그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blog.naver.com/blogfsc/223126489820

청년도약계좌 6/15 출시, 가입 대상, 소득 요건, 정부기여금 및 금리 기준, 출생연도별 가입 일정,

“힘찬 미래 높은 도약” 청년도약계좌 협약식 및 간담회 개최 - 2023년 6월 12일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1...

blog.naver.com

 

반응형
Comments